스마트 팜(smart farm) 정의와 필요성
스마트 팜이란 어떤 뜻일까요? 스마트(smart)는 똑똑한, 팜(farm)은 농장, 농가의 뜻을 가지고 있으니 '영리하고 똑똑한 농장'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죠. 왜 이렇게 부를까요? 바로 농업, 임업, 수산업 등의 생산과 가공, 유통 모든 단계를 정보 통신 기술(ICT)과 연결해 지능화된 농업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 팜(smart farm)은 왜 필요할까요? UN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는 97억 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현재 인구는 약 70억 명이니 지금을 기준으로 하며 약 20억 명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UN의 식량기구 FAO에 따르면 가난하고 취약한 사람들에게 영양가 있는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농업 생산의 70%가 증가되어야 하며 자연환경에 영향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것이 필요한 것이죠.
스마트 팜은 4차 산업 혁명의 여명기에 등장한 신기술을 농업과 축산업 분야에서 활용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생산의 양과 질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농업과 축산업에 기술을 접목시키면 전 세계적으로 식량 안보를 강화할 수 있게 됩니다.
스마트 팜 핵심 기술
스마트 팜에는 다양한 첨단 기술들이 접목되어 있습니다. 인공지능, 드론,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ICT 기술을 이용해 농작물이나 가축들, 그리고 수산물 등의 생육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 관리할 수 있고 이 모든 통제를 컴퓨터 PC나 스마트폰으로도 원격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팜 기술중 드론은 적외선 기술,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 및 토지 상태를 체크하고 작물 성장이나 병원균의 존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한 번의 비행으로 수백 에이커를 커버할 수 있어 농장의 감독 관리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농작물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에서 소를 키울 경우, 소의 수도 파악할 수 있고, 무게 및 부상, 절름발이, 비정상적인 움직임도 손쉽게 관리가 가능하게 됩니다.
사물인터넷 - 사물인터넷은 주로 일사량 조절 등 스마트 센서를 통해 식물들의 수분, 줄기의 상태, 가축의 경우 동물의 체온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측정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의 스마트 센서를 통해 농장 모니터링을 하여 전반적인 관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됩니다.
빅 데이터 - 방대한 양의 정보를 빅 데이터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드론이나 사물 인터넷으로 측정하고 모은 정보를 빅 데이터를 통해 과거 정보와 비교하거나 날씨 데이터와 통합하여 생산 공정의 모든 단계를 최적화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인공지능- 농업에서 인공지능과 로봇화는 비료와 살충제를 뿌리거나 관리하는 데도 사용되며 잡초를 처리하는 데도 효율적으로 이용됩니다.
스마트 팜의 문제점
스마트 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초기 투자비용이 비싸고 부담스럽다는 것입니다. 워낙 비용이 비싸다 보니 투자회수 기간이 농업과 축산업 종류와 규모에 따라 길어질 수 있고 새로운 기술에 농가나 축산업 관계자들이 숙달되어 능숙하게 사용하는 데 까지도 시간이 걸려 우려의 목소리가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팜이 안정적으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유통구조가 혁신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한국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은 생산시설 확대와 생산력에 중점을 두고 있어 생산과잉과 가격폭락의 우려가 있다는 여론이 큽니다.
한국에서는 문제점들이 많이 지적되고 있지만 미국이나 일본, 중국 등 스마트팜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다양한 모델과 함께 성공사례도 많습니다.
스마트 팜의 긍정적 측면
스마트 팜의 기술의 적용은 농업과 축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관개 용수와 같은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토지에서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나갈 수 있습니다.
생산증가- 스마트 팜의 기술은 농업 및 가축 사육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의 최적화는 생산율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물 절약 -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는 일기 예보 및 센서는 필요할 때만 적절한 시간과 양을 측정해 물을 주는 것을 통해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런 수분 통제를 통해 최적의 토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더 나은 품질 - 농업 환경을 개선함에 따라 농산품의 품질 분석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생산 품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됩니다.
비용절감 효과 - 농업의 경우 파종, 처리 및 수확의 자동화는 자원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결국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충이나 전염병 방지 - 해충도 탐지할 수 있게 되고 동물 질병의 조기 탐지가 가능해져 생산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챗GPT 정의, 특징, 설계방식, 장점과 단점
챗지피티 (ChatGPT) 정의와 특징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챗GPT는 무엇일까요? 오픈에이아이(OpenAI)는 복잡한 질문에 대화식으로 답변하는 챗GPT라는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했습니다. 즉, ChatGPT는 오픈
momisceo.tistory.com
빅데이터 정의 및 특징, 빅테이터 중요성과 활용
빅테이터(Big Data) 정의 및 특징 빅테이터는 너무 대량으로 크거나 빠르고 복잡하여 기존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어떤 특정 목적의 분석을 위해 수많은 정보
momisceo.tistory.com
'IT 정보 & IT 필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퍼브 뜻, 리퍼브 제품 단점, 리퍼브 영어 (0) | 2023.02.15 |
---|---|
오픈AI 주가, 오픈AI GPT , 오픈AI 대장주 마이크로소프트 주가와 전망 (0) | 2023.02.09 |
썸 네일 뜻, 유튜브 썸네일 사이트 (1) | 2023.02.05 |
챗GPT 정의, 특징, 설계방식, 장점과 단점 (0) | 2023.01.26 |
플래시몹 뜻, 플랩시몹 사례, 특징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