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AI ,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미래전망, 한국배터리 관련주 기업들은 호재? 악재?

by 디지털노마드 & N잡러 2022. 9. 27.
반응형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는 인플레이션 완화를 목적으로 2022년 8월 16일 발효되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의료비 지지원, 법인세 인상, 기후변화 대응의 내용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법안으로 그 중 일부로 전기차 구매 시 세액 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미국 내에서 생산한 배터리 부품과 광물이거나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를 통해 공급을 받아야 합니다. 다시 말해 전기차 제조에서 중국 등 우려가 되는 국가들의 배터리 부품과 광물을 최소한의 것, 일정 비율 이하로만 사용하도록 하면서 완전히 견제하는 것이죠.

 

실제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나라는 유럽,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 다양한 나라들이 있는데 그 중 한국을 대표하는 배터리 셀 제조사는 LG 에너지 솔루션이나 삼성 SDI, SK on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량은 테슬라가 1위, 현대가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현대차는 미국 내 생산이 아닌 수입차로 구분되어 세금 혜택의 대상이 아직까지는 아닙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2024년 40%, 2026년 80%, 2029년 100%까지 확대됩니다.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핵심인 리튬,코발트, 니켈 등을 미국이나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에서 공급받아야 하는 조건이 따릅니다. 최근 테슬라가 텍사스에 리튬 정제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을 제출한 것도 이와 관련된 내용이죠. 테슬라는 보조금도 받지만 리튬을 자체적으로 제조 생산한다면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리튬판매도 사업의 일환으로 전환해 기업을 더 성장시킬 수 있게 됩니다.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정리

 

보조금은 전기차 한 대당 7500달러 지급 조건
  • 배터리 구성 요소 셀, 소재 충족시 3.750달러 지급
  • 핵심 광물 충족시 3,750 달러 지급

 

 

 

한국 배터리 셀, 소재 관련주

국내 베터리 셀, 소재 업체들은 미국의 이와 같은 USMCA 시행으로 보조금을 받기 위해 북미 생산 거점을 확보 준비 중입니다. 미래 전기차 생산량이 늘어나 전기차 점유율이 높아질수록 배터리 관련 한국 기업들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는데요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아래의 정리표를 참고하세요. 

배터리 셀, 소재 한국 기업명
양극재 엘엔에프, 포스코케미칼,코스모신소재,에코프로비엠
전지박 솔루스첨단소재, SK넥실리스, 일진 머틸리어즈
CNT 도전재 니노신소재
전해액/ 전해질 동화일렉, 솔브레인, 엔켐, 후성, 천보
실리콘음극재 대주전자재료, 나노신소재,한솔케미칼
분리막 SKIET
부품 상아프론테크, 신흥에스이씨
LGES, 삼성 SDI

 

 

 

주요 배터리 셀 제조사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비교

IRA 법안의 규제에 맞게 주요 완성차 OEM 회사들은 주요 베터리 셀 제조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미국의 주요 완성차 OEM 회사들은 GM, 포드, STELLANTIS, 도요타, 폭스바겐, 현대, 기아, 테슬라, RENAULT, 닛산, 혼다, BMW, 벤츠, 루시드 등이 있는데 이 회사들은 기존의 배터리 셀 제조사들과 협업해야 하는 것이죠.

한국  일본  중국 유럽&미국&신생업체
LG 에너지 솔루션
삼성 SDI
SK on
파나소닉 (테슬라 담당)
GS YUASA
EV ENERGY
CATL
BYD
FARASIS
ENVISION AESC
EVE 
GOTION
NORTHVOLT
BRITISHVOLT
AMTE POWER
INOVAI
MICROVAST
ACC(Automotive Cells Company)
ITALVOLT

 

 

한국 배터리 제조사들의 미래 전망 

향후 주요 배터리 셀 제조사 중 중국이 배제된다면 남는 기업은 한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 미국, 신생 업체만 남습니다.

이중 한국이 가장 우수한 배터리를 제조하고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합니다. 일본은 파나소닉이 유명하지만 현재는 테슬라 배터리만 만들고 있습니다. 유럽이나 미국 업체, 신생업체들은 아직은 양산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한국에 많이 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뉴스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대통령 보다 삼성을 먼저 방문한 이유도, 상원의원 의장인 넬시가 한국을 급히 방문한 이유도 다 여기에 있습니다. 혼다는 이미 LG 에너지 솔루션과 협력해 미국에 공장을 설립할 계획에 있습니다.

 

바이든은 2030년까지 미국내의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50%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5%, 2030년까지 전기차 회사들의 폭발적 성장이 있어야 도달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실제 캘리포니아 주는 2030년 이후 내연 기관차 판매금지 조치를 내렸는데 이것은 미국의 다른 주로 퍼져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IRA 법안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업은 한국 기업이 유일해 전망이 밝음
  • 전기차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기업이 성장하고 기업가치 상향 조정 가능
  • 전기 자동차 미국 업체와 일본 업체, 유럽 등도 한국 기업들과 협업 가능성 높음
  • 주요 배터리 셀 제조사인 한국 3사 수주가 더 늘어날 전망
  • 배터리 셀 업체들과 소재 부품 업체들의 물량이 증가하고 있음
  • 환율 상승으로 인한 매출 증가도 예상 됨

 

 

같이 생각해 볼 문제
  • 이 분야의 산업의 흐름은 좋지만 주가는 더 다양한 것들을 반영해 결정되므로 지속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 전 세계 내연 기관차 기업들이 전기차로 전환했을 때 기존처럼 기업가치를 유지하며 성장할지 지켜보면서 미래 살아남을 좋은 기업들을 선별해 협력해야 합니다.
  • 미국의 IRA 법안을 통해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는 방향으로 가지만 핵심 기술을 빼앗기고 악용당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 새로운 산업인 전기 자동차를 통해 한국의 위상이 더 높아질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정부도 기업도 국민도 함께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요.

 

한국 배터리 관련 기업들은 미래 전망이 밝다고 생각되는데 여러분은 어떠세요? 단순히 배터리 관련 기업들만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들도 부를 이루고 한국이 모든 산업의 핵심기술을 보유한 나라로 인식되기를 기원해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