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는 지난 금요일(8월 26일 현지시각) 미국 정부가 데이터 센터 및 인공지능 관련 반도체를 중국과 러시아에 수출을 제한한다는 뉴스를 통해 폭락했습니다. 이것은 H100과 A100 등 인공지능(AI)용 최첨단 반도체로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견제의 하나로 보입니다.
이와 같은 미 정부의 통보를 통해 지난 금요일 엔비디아 주가는 10% 이상 급락하면서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엔비디아는 AI용 칩을 만들어 중국에 수출하는 것은 안되지만 중국 현지 공장에서 개발해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놓고 있지만 앞으로 진행사항을 지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미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회사이기도 하고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는 미국 반도체 회사이기도 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엔비디아 회사에 대한 정보과 앞으로의 전망 같이 살펴볼까요.
반도체 시리즈② 엔비디아(NVIDIA)
창립자: 젠슨 황, 크리스 말라초프스키, 커티스 프림
CEO: 젠슨 황
창립일: 1993년 4월
본사: 미국 캘리포니아 샌타클래라
엔비디아(NVIDIA) 특징
- 콘솔 게임기와 PC, 노트북 등을 위한 그래픽 카드인 GPU 및 인공지능(AI)에 초점
- 인공지능 컴퓨팅의 학습을 목적으로 반도체 전기회로를 디자인
- GPU는 게이머용 GeForce, 디자이너용 Quadro, AI 데이터 과학자와 빅데이터 연구자를 위한 Tesla 및 DGX, 클라우드 기반 시각 컴퓨팅 사용자를 위한 GRID 등 다양하고 전문화된 시장을 목표
엔비디아(NVIDIA) 역사
1993년 | 엔비디아 설립 |
1994년 | 첫번째 전략적 파트너십을 SGS-Thomson Microelectronics와 체결 |
1995년 | 첫번째 상품 NV1 출시 |
1996년 | 3D 그래픽을 렌더링하는데 사용되는 API인 Direct3D를 지원하는 최초의 마이크로소프트 DirectX를 공개 |
1997년 | RIVA 128출시, 이것은 세계 최초 3D 프로세서, 출시 4개월만에 1만개 판매 실적 기록 |
1998년 | TSMC와 파트너십 체결 |
1999년 | 프로페셔널 GPU에 투자 |
2000년 | 세계 최초의 노트북 GPU인 GeForce2 Go가 출시 |
2001년 | NFORCE와 통합 그래픽 시장 진출 |
2002년 | 포춘에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로 등극 |
2003년 | 미디어 Q 인수 |
2004년 | SLI 출시, 단일 PC 그래픽 성능 대폭 향상 |
2005년 | 소니 플레이스테이션3을 위한 프로세서 개발 |
2006년 | CUDA 마티텍처 공개 |
2007년 | 포브스, 올해의 기업으로 선정됨 |
2008년 | TEGRA 모바일 프로세서 출시 |
2009년 | 제1회 GPU 기술 컨퍼런스에서 FERMI 아키텍처 출시 |
2010년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 컴퓨터 강화 |
2011년 | 10억 번째 프로세서 출하 |
2012년 | 케플러 출시 아키텍처 기반 GPU |
2013년 | TEGRA 4 모바일 프로세서 제품군 소개 |
2014년 | 안드로이드 게임 TEGRA K1,쉴드 태블릿 출시 |
2015년 | TEGRA X1, 엔비디아 드라이브와 함께 딥 러닝에 뛰어듬 |
2016년 | AI 강화, 파스칼, DGX-1, 드라이브 PX2 |
2017년 | AI 더욱 발전 시킴, GPU 딥 러닝, VOLTA 사용 |
2018년 | 튜링 아키텍처로 컴퓨터 그래픽 재창조 |
2019년 | 자율주행차 및 프로 그래픽 시장 진입 |
2020년 | MELLANOX 인수 완료, NVIDIA AMPERE GPU ARCHITECTURE 출시 |
엔비디아(NVIDIA) 실적
위의 실적을 보면 당기 순이익(net income)은 2021년 대비 2022년 1월에는 거의 2배 가깝게 성장했으며 전체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출 총이익도 전년 대비 약 59% 성장을 보였습니다. EPS 또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처럼 주가는 하락했지만 실제 재정 상태는 튼튼합니다. 어떤 기업은 주가는 올라도 실제 재무상태가 좋지 않아 불안한 기업도 있지만 엔비디아는 그 반대라고 할 수 있죠.
엔비디아(NVIDIA) 주가
오늘 주가는 136.47달러로 전장 대비 2.08% 하락, 마감 후 거래에서 0.23% 상승해 136.78달러 기록.
PER은 36.60, EPS는 3.73 달러로 목표 주가는 214.03달러입니다.
52주간 최저가는 132.70달러, 최고가는 345.47로 고점 대비 50% 이상 폭락.
엔비디아(NVIDIA) 전망
애널리스트 38명 중 7명 강한 매수 추천, 14명 매수 의견, 15명 홀드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136.47달러,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 금액은 214.03달러를 보이고 있습니다.
Needham 애널리스트 Rajvindra S. Gill은 중국과 러시아로의 수출에 대한 미국 정부의 강경한 입장은 엔비디아 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여 데이터 센터 관련 추정치를 낮추었지만 엔비디아에 여전히 매수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목표 금액을 185달러에서 170달러로 하향 조정.
이번에 주가는 폭락했지만 엔비디아는 여전히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가지고 있고, 우수한 대차 대조표 및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감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반도체 시리즈로 엔비디아의 기업의 특징, 역사, 실적, 주가와 전망을 알아보았습니다. 미국의 중국 견제의 일환으로 반도체 수출의 제한을 받아 일시적으로 주가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매력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기업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이번처럼 기업 관련 뉴스를 듣고 실제 재무상태와 실적을 보면서 투자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정보는 유용하게, 투자는 자신의 확신으로 부자 되는 그날까지~!
반도체 시리즈①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Cadence Design Systems)는 1988년 SDA Systems와 ECAD,Inc.의 합병으로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로 주로 반도체 설계시 거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회
momisceo.tistory.com
'미국주식& AI ,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거래시간, 미국증시 휴장일, 서머타임 (0) | 2022.09.26 |
---|---|
FAANG이 새롭게 MATANA로 전환 (0) | 2022.09.07 |
테슬라 vs BYD 비교 분석 (2) | 2022.09.01 |
반도체 시리즈①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4) | 2022.08.21 |
전기 자동차 시리즈 ⑥리오토(LI) 주가, 실적,미래 전망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