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용어 & 경제용어

경기침체, 리세션 뜻

by 디지털노마드 & N잡러 2022. 9. 23.
반응형

 

 

경기침체에 관한 뉴스가 연일 끊이지 않고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뉴스를 읽다 보면 recession(리세션)이란 표현이 자주 쓰이고 한국 뉴스를 읽다 보면 이것을 '경기침체'라고 해석하는데 경기침체와 리세션은 같은 뜻일까요? 

 

경기침체, 리세션 

리세션(recession) 뜻

경기순환은 4개의 국면으로 순환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불황(depression), 회복(recovery), 호황(prosperity), 후퇴(recession) 이렇게 4개의 국면이 순환합니다. 리세션(recession)의 뜻은 최고 호황기를 정점으로 실업률이 상승하고 기업들의 생산활동이 저하되면서 생기는 최저 침제기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결국 경기순환 과정에서 경기 후퇴 초기 국면으로 들어가면 침체라고 하는 것입니다. 

 

 

 

리세션(recession)을 정하는 기준

리세션은 무엇을 기준으로 정할까요? 미국국립경제연구소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분기 연속 하락하면 경기후퇴, 즉 리세션이라고 정의합니다. 미국은 GDP 증가율이 감소하면 침체가 아니라 경기 둔화(downturn)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경기침체 뜻

경기침체의 뜻은 디프레션(depression)과 리세션(recession) 두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디프레션(depression)이란 실업률 증가, 재고가 누적되고, 수요보다 공급이 늘어나며, 구매력은 감소, 가격 하락, 영업활동 저하, 공장 감축, 디플레이션 등의 특징이 나타나는 경제상황을 의미합니다. 리세션(recession)의 의미로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평가기준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최근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이미 경기침체가 왔다는 전문가들과 이제 경기침체로 들어간다는 보도로 나뉩니다. 이럴 때 기업들의 특징은 뉴스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인원감축이 늘어나고 매출 감소로 이익이 하락하면서 주가도 하락, 국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개인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기침체는 고물가, 소득감소, 고용불안 등 경제 용어가 설명하지 않아도 이미 생활에서 경제적 압박을 받게 되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