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용어 & 경제용어

인플레이션(inflation) 뜻, 인플레이션이 생기는 이유

by 디지털노마드 & N잡러 2022. 8. 8.
반응형

 

 

 

올해 끊임없이 제기되는 것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금리 인상.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뭐길래 이렇게까지 전 세계가 민감해질까요. 

 

 

 

인플레이션(inflation) 뜻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사용하는 돈의 가치가 떨어져 같은 10만 원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이 적어지거나 달라진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예전에는 자동차 기름을 가득 채워도 10만 원 정도였다면 지금은 20만 원을 내야 가득 채울 수 있게 된다는 것이에요. 

 

 

인플레이션 뜻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

 

 

인플레이션(inflation) 은 왜 생기는 걸까요?

인플레이션 원인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수요가 과다하게 발생해 인플레이션이 생기기도 하고 공급 과잉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환율과 물가 때문에 초래되기도 해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죠. 

 

 

수요측면으로 본 인플레이션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 원인인데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 보면 수요가 증가하고 거기에 공급이 부족하면 여기서 가격은 상승하고 이것이 지속되면 물가가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즉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크면 물가는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집을 사고 싶은 사람은 10(수요), 공급된 집은 5(공급)이라면 공급이 부족해 경쟁이 심화되면서 가격이 오르는 것이죠. 

 

이렇게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3가지 있습니다.

 

  • 통화량 - 통화 공급량이 증가하면 시중에 돈이 늘어나고 이걸로 상품을 사고 싶어하는 수요가 전반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것이죠. 코로나 기간 동안 미국에서 많은 돈을 풀면서 지금의 인플레이션은 이미 예견된 것이었습니다. 그 돈으로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그것에 따른 공급이 늘어나지 못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초래되었습니다.
  • 소득의 증가 - 임금상승이나 소득이 증가하면 역시 소비지출이 자연스럽게 늘어납니다.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도 정부도 소득이 증가하면 개인은 소비지출이 늘고 기업은 투자지출이 늘며 정부도 돈 쓸 곳을 찾기 마련입니다. 이 또한 총수요의 증가로 경기과열이 일어날 수 있고 인프레 우려 현상이 됩니다.
  •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 기대 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물가가 오를 것 같은 불안한 심리가 확산되면서 사제기를 하게 됩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질 것을 우려해 돈을 갖고 있는 것보다 물건을 사놓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거죠.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필요 없는데도 무언가 불안한 심리로 주저 없이 사게 되면서 가수요가 늘어납니다. 이런 가수요의 증가로 인해 결국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공급 문제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상품의 생산비가 증가함에 따라 상품 가격이 오르면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중요한 철판 가격이 오르면 자동차 판매 가격이 오르고 철판이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들의 가격이 오르면서 결국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 임금인상 인플레이션 - 임금 인상폭이 커지면서 발생합니다.

이밖에도 공급문제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에는 밀가루나 설탕 가격의 인상으로 인한 이윤 인상 인플레이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보다 수입 원자재 가격의 인상이나 자연재해나 올해처럼 전쟁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의 인상으로 물가가 올라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시키고 있습니다. 금리를 인상시키면 사려고 했던 집도 차도 물건들도 점점 사지 않게 되면서 수요가 강제로 줄어드는 것이죠. 하루빨리 인플레이션이 안정되어 미국 경기도, 그리고 전 세계 경제도 안정되기를 바래 봅니다. 

 

인플레이션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