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사모펀드, 공모펀드 뜻과 차이점
재테크에 관심이 있다면 '펀드'라는 단어를 자주 접해을 것입니다. 은행에 적금을 들으러 가도 은행 직원이 펀드에 가입하지 않겠냐고 영업을 할 때도 있잖아요. 예전에 은행 직원이 권유하는 펀드에 들었다가 1년이 채 안 지나 해약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는 사실 뭔지 잘 몰랐어요. 재테크를 할 때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무엇을 해도 기본적인 공부를 해야 이익이 나도 잘 관리할 수 있고 손해가 나면 그 원인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공부도 되고 개인적인 성장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펀드, 사모펀드, 공모펀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펀드란?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을 대신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자금을 모아 운용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 제가 들었던 펀드는 해외 펀드 중 브라질에 투자하는 것이었습니다. 개인은 브라질이라는 나라도 잘 모르지만 브라질에 어떤 금융상품이 좋은지 알기 매우 어렵잖아요. 그럴 때 이렇게 자산운용사인 은행이나 증권회사가 상품을 만들어 투자자들을 모아 운용하는 것이죠.
펀드는 굉장히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이처럼 투자지역에 따라 국내펀드, 해외펀드, 역외펀드가 있습니다. 역외펀드란 외국통화로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투자 방식에 따라서는 거치식 펀드, 적립식 펀드, 임의식 펀드로 분리하고 주식 투자비중에 따라서는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혼합형 펀드로 나뉩니다. 또한 투자철학에 따라서는 성장주 펀드와 가치추 펀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사모펀드란?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영하는 펀드로 사모(私募)펀드의 한자를 보면 조금 더 이해가 쉽습니다. 사모(私募)는 '사적으로 모으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이 사적인 계약 형태를 띠고 있어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고 제한 없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모펀드의 종류에는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의 하나인 헤지펀드와 투자한 회사 경영에 직접 관여하여 기업가치를 높이는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도 있습니다.
사모펀드의 특징
-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 대부분 고액자산가나 기관투자자들이 대상
- 100인 이하(금융당국의 규제를 적용 받지 않는 자본시장법 바탕으로)
-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 자유롭게 투자
- 공시의무 없음
- 공모펀드와 달리 운용에 제한이 없어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반면 고위험도 따르는 펀드
공모펀드란?
사모펀드와는 반대로 불특정다수에게 공개적으로 투자기회를 주는 펀드. 공모펀드는 금융당국의 엄격한 규제를 적용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공모펀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자산운용규제, 투자설명서 설명 교부의무, 외부감사, 분산투자 등 엄격한 규제가 따릅니다.
공모펀드의 특징
- 불특정다수에게 대규모 모집
- 위탁판매사를 통해 공개모집 절차를 밟는다
- 증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기/수시 공시 의무
- 투자 종목수에 제한이 있으며 투자 금액은 제한이 없다
- 매기 결산마다 회계감사 실시
사모펀드가 고수익 고위험이라면 공모펀드는 중수익, 저위험에 해당합니다. 사모펀드는 투자 금액 최저가가 1억 원 이상이지만 공모펀드는 개인투자자들이 자유롭게 금액을 정할 수 있습니다.
'주식용어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적긴축 뜻, 양적긴축과 테이퍼링 차이 (0) | 2022.10.09 |
---|---|
양적완화, 양적완화 부작용 (0) | 2022.10.09 |
핵심 주식용어 PER, EPS, ROE 아는만큼 보인다! (테슬라 분석) (0) | 2022.10.01 |
레버리지 뜻, 레버리지 투자 특징 (0) | 2022.10.01 |
서머타임 유래, 역사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