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1년에 4번 기업들은 의무적으로 실적 발표를 합니다. 분기별 실적 발표가 나올 때마다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3가지 주식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PER, EPS, ROE입니다. 오늘은 미국 주식이 처음인 분에게, 투자하고 있었지만 기업 분석을 어디서부터 하면 좋은지 궁금했던 분들에게, 기업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대표적인 지표인 PER, EPS, ROE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실질적으로 테슬라 기업에 적용해 설명을 드릴게요.
핵심 주식용어 PER, EPS, ROE
주가 수익비율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 지표입니다. 다시 말해 회사 주식이 순이익에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PER은 업종별로 다르며 기술주는 다른 업종에 비해 미래에 대한 성장가치로 인해 PER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PER을 통해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PER이 낮으면 저평가를 의미하고 높으면 고평가를 의미합니다.
PER
주식가격 ÷주당순이익(EPS)
테슬라 PER을 직접 계산해 보기
위에서 보이는 테슬라 주가 표를 참고로 PER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테슬라 현재 주가 : 265.25 달러
주당 순이익 (EPS) : 2.64
테슬라 PER (Price earning ratio) : 265.64 ÷ 2.64 =100.47 배
이와 같이 테슬라의 PER은 100.47배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애플의 PER은 현재 22.84배, 삼성전자는 8.05배로 미국과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과 비교해도 테슬라가 어느 정도 PER이 높은지 알게 됩니다. (9.30.2022 기준)
- 테슬라 PER: 100.47배
- 애플 PER: 22.84배
- 삼성전자 PER: 8.05배
테슬라의 주당 순이익(EPS)은 2.64달러인데 실제 주가는 100배가 넘는 265.25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뉴스에서 "테슬라 주가가 지나치게 고평가 되었다"라고 하는 이야기는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도 상당히 높은 가격이며 100배가 넘는 미래 가치를 평가받는 면에서도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애널리스트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투자는 애널리스들의 긍정적인 의견과 부정적인 의견 모두를 참고하면서 PER을 직접 확인해 보고 자신의 확신으로 해야 하는 것입니다.
주당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
기업이 번 순이익(당기순이익)을 해당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이렇게 계산하면 1주당 이익이 얼마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EPS가 필요한 이유는 투자한 주주들은 1년간 자신이 투자한 기업이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1주당 더 많은 수익을 만들어 내는 것이므로 EPS가 높을 수록 투자 가치가 높다고 평가됩니다.
EPS
당기순이익 ÷ 발행된 총 주식수
예를 들어 주식 가격이 100 달러인데 EPS가 1.59달러인 기업과 EPS가 3.9달러인 기업이 있다면 투자자는 당연히 EPS가 높은 기업을 선택할 것입니다.
테슬라의 EPS는 2.64 달러, 애플의 EPS는 6.05 달러, 알파벳 구글은 5.30 달러입니다. 기업들이 실적 발표를 할 때 자사주 매입에 관한 발표를 하는데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식수를 줄이면 주당순이익(EPS)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주식을 더 사지 않았는데 주주들에게 높은 수익률이 보장되는 것입니다.
- 테슬라 EPS: 2.64 달러
- 애플 EPS: 6.05 달러
- 알파벳 구글: 5.30 달러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1년간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해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이며 경영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산출방식은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100을 합니다.
ROE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100
ROE가 높을 수록 당기순이익을 많이 낸 효율적인 기업으로 평가받습니다. 주식투자자들은 ROE를 통해 투자수익률을 확인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익의 척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ROE가 10%라면, 100억의 자본을 투자해 기업은 10억의 이익을 얻은 것이 됩니다. ROE가 20%라면 기업은 20억의 이익을 창출한 것이 됩니다.
'주식용어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적완화, 양적완화 부작용 (0) | 2022.10.09 |
---|---|
펀드, 사모펀드, 공모펀드 뜻과 차이점 (0) | 2022.10.04 |
레버리지 뜻, 레버리지 투자 특징 (0) | 2022.10.01 |
서머타임 유래, 역사 (0) | 2022.09.26 |
헤지펀드 뜻, 유래, 역사 ,투자전략, 특징 (0) | 2022.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