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톡옵션 (stock option) 뜻
벤처 비즈니스 등 다양한 기업들이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제도를 도입하면서 널리 알려졌는데요, 자사의 주식을 일정 한도 내에서 액면가 또는 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주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임의대로 처분할 수 있는 권한까지 가지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주식 매입 선택권 및 주식매수선택권이 주어지는 것입니다.
원래는 기업이 임직원에게 일정수량의 자사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인데 벤처기업들은 채용당시 높은 임금을 보장할 수 없어 인재를 모을 때 스톡옵션 제도를 많이 사용합니다. 나중에 벤처기업이 성공하면 임직원들은 회사가 옵션을 제공할 때 결정한 행사 가격으로 주식을 취득한 뒤 시가대로 매도할 수 있습니다.
스톡옵션의 장단점
- 스톡옵션의 장점- 해당 기업의 경영 상태가 양호해서 주가가 상승하면 스톡옵션을 매각해 상당한 차익금을 남길 수 있어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은 주인의식을 갖고 함께 열심히 일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어 효과적인 능률급 제도로 여겨집니다. 또한 주주와 투자자 입장에서는 현금 흐름의 유출을 막고 임금 억제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 스톡옵션의 단점- 주식시장의 침체기에는 아무리 실적이 좋아도 주가가 상승하기 어려워 주주가 얻어야 할 이익이 임직원에게 이전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게임 기업 로블록스는 실제 매출이 나쁘지 않았지만 스톡옵션 비중이 높아 어닝쇼크 발표를 해 주가가 떨어진 경우가 그렇습니다.
반응형
'주식용어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가총액 뜻,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2022 (0) | 2022.11.11 |
---|---|
숏커버링 뜻,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11.08 |
어닝시즌, 어닝 쇼크, 어닝 서프라이즈 (0) | 2022.11.08 |
메타버스 뜻,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0) | 2022.11.05 |
공매도란, 주식 공매도 방법 (0) | 2022.11.05 |
댓글